반응형

 

안녕하세요.

 

맥북 상단 메뉴바에 CPU 사용량에 따라 뛰는 고양이 RunCat 앱을 설치해봤습니다.

귀여운 디자인과 더불어 CPU 모니터링 기능도 제공해서 꽤 유용했어요.

 


1️⃣ RunCat 다운로드 방법

Mac App Store에서 RunCat 검색 후 다운로드

 


2️⃣ RunCat 설치 및 실행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 폴더에 설치됨

Mac App Store에서 'Open' 버튼을 눌러 바로 실행 가능

 


3️⃣ RunCat 메뉴바 실행화면

실행 후 상단 메뉴바에 고양이 캐릭터가 표시됨

CPU 사용량이 높아질수록 고양이가 더 빨리 달리는 애니메이션 제공

 


4️⃣ 설정 및 커스터마이징

Settings에서 원하는 Runner 선택 가능 (앱 내 무료 제공)

Self-Made 기능으로 직접 만든 캐릭터도 적용 가능

Activity Monitor와 연동해 시스템 상태도 빠르게 체크 가능

 


RunCat 사용 후기

CPU 상태를 확인하면서 귀여운 고양이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어서 재미있었어요.

고양이가 빨라지면 자연스럽게 시스템 부하를 인지하게 돼서 알림 없이도 직관적으로 상태를 알 수 있었습니다.

 

💡 꿀팁

Runners 메뉴에서 원하는 캐릭터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

Self-Made에서 직접 만든 gif 캐릭터도 적용 가능

Activity Monitor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시스템 모니터링 가능

배터리나 메모리, 네트워크 상태도 한눈에 확인 가능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맥북 배터리 상태가 궁금해서 coconutBattery 앱을 설치하고 사용해봤습니다.

간단하게 설치해서 배터리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유용했어요.

 


1️⃣ coconutBattery 다운로드 및 설치

공식 사이트(coconut-flavour.com)에서 Download 버튼 클릭 후 설치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폴더에서 coconutBattery.app Applications 폴더로 이동하여 설치 완료

 

런치패드에서 앱 실행

 

 


2️⃣ coconutBattery로 배터리 상태 확인

앱 실행 후 첫 화면에서 Mac 모델명, 제조일자, 배터리 상태(Health), 사이클 수 등 확인 가능

현재 배터리 충전량, 온도, 방전 속도 등 실시간 정보 제공

 


3️⃣ macOS 메뉴바에 배터리 표시

시스템 설정 > Control Center에서 메뉴바에 배터리 표시 설정 해제

 

coconutBattery에서 Settings 설정

coconutBattery에서도 메뉴바에 아이콘 표시 설정 가능

 


4️⃣ 자동 실행 설정

시스템 설정 > 로그인 항목에서 coconutBattery 자동 실행으로 추가

부팅 시 자동으로 배터리 정보 확인 가능

 


coconutBattery 사용 후기

배터리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했고, 메뉴바에서도 퍼센트가 바로 보여서 자주 확인하게 되었어요.

Mac 배터리 교체 시기 확인할 때도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꿀팁

배터리 Health가 80% 이하, 사이클 수 1000 이상이면 배터리 교체 고려

온도 모니터링으로 발열 관리 가능

메뉴바 커스터마이징으로 원하는 스타일로 배터리 정보 표시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macOS에서 창을 손쉽게 정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 Rectangle 설치 및 설정 방법입니다.

 


1️⃣ Rectangle 앱 다운로드

Rectangle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다운로드한 파일 열기

다운로드 폴더에서 Rectangle0.xx.dmg 파일을 확인하고 실행합니다.

 


3️⃣ 애플리케이션 폴더로 이동

Rectangle 앱 아이콘을 Applications 폴더로 드래그하여 설치합니다.

 


4️⃣ 앱 실행 및 권한 요청

Applications 폴더에서 Rectangle 앱을 실행합니다.

 

처음 실행 시 접근성 권한을 요청합니다. "Open System Settings"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5️⃣ 접근성 권한 부여

시스템 설정 > Accessibility에서 Rectangle 앱에 체크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합니다.

 


6️⃣ macOS와 Rectangle 중복 기능 비활성화

macOS의 기본 창 타일링 기능과 Rectangle의 기능이 충돌할 경우, "Disable in macOS"를 선택합니다.

 

macOS의 타일링 기능 비활성화 완료 후 OK를 클릭합니다.

 


7️⃣ Rectangle 단축키 설정

Rectangle의 기본 단축키를 확인하거나 원하는 대로 단축키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습니다.

 


8️⃣ 기타 세부 설정

Launch on login (로그인 시 자동 실행) 등 기타 세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창 간격 조절, 키보드 제한 해제 등 다양한 설정 가능.

 


✅ 주요 기능

다양한 단축키로 창을 좌/우/상/하, 코너로 빠르게 정렬

창 크기 조절 및 중앙 정렬 지원

멀티 모니터 환경에서도 창 이동 가능

 


💡 꿀팁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Launch on login)

macOS 기본 윈도우 스플릿과 충돌 시 Rectangle에서 일괄 관리 가능

키보드 단축키 자유롭게 커스텀 가능

 


✨ 요약

깔끔한 단축키 기반 창 배치 앱, 윈도우 스냅 기능처럼 사용 가능하며 macOS 생산성을 높여주는 필수 유틸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앱을 삭제해도 남아있는 찌꺼기 파일들…
AppCleaner를 이용하면 맥북에서 앱과 관련된 파일을 깔끔하게 완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아래 과정을 따라 쉽게 정리해보세요.

 


1️⃣ AppCleaner 다운로드 및 설치

공식 사이트: freemacsoft.net/appcleaner

본인 macOS 버전에 맞는 버전 선택 후 다운로드

 


2️⃣ 다운로드 후 실행

다운로드 폴더에 있는 AppCleaner.app 실행

애플에서 인증되지 않은 앱으로 뜨는 경우, 시스템 설정 → 보안에서 허용

 


3️⃣ 앱 관리 권한 부여

시스템 설정 → Privacy & Security → App Management

AppCleaner가 앱 삭제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체크

 


4️⃣ AppCleaner를 애플리케이션 폴더로 이동

드래그해서 Applications 폴더로 이동

이동 후 Dock에 고정해두면 더 편리하게 사용 가능

 


5️⃣ 삭제할 앱 선택 및 제거

AppCleaner에서 삭제할 앱 검색 (예: Notion)

관련 파일을 자동으로 찾아주며, 모두 선택 후 ‘Remove’ 클릭

앱과 관련된 설정 파일, 캐시 등 모두 삭제 완료

 


6️⃣ 삭제 완료 화면

삭제 완료 후 해당 앱은 목록에서 사라짐

정리 끝!

 


✅ 정리 요약

단계 내용
1️⃣ AppCleaner 다운로드 및 실행
2️⃣ 보안 권한 허용 (App Management)
3️⃣ 삭제할 앱 검색 및 관련 파일 확인
4️⃣ 모든 파일 선택 후 삭제 완료

 

 


📌 TIP

AppCleaner는 무료 앱이며, 광고 없이 쾌적하게 사용 가능

정기적으로 사용하면 맥 저장공간 최적화에 도움 됨

실수로 삭제 방지를 위해 중요 앱은 주의해서 선택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Safari에서도 크롬처럼 개발자 도구(Inspect Element)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단계별로 Safari에서 개발자 도구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설명드릴게요!

 


1️⃣ Safari 설정 진입

Safari 실행 후 상단 메뉴에서 "Safari" → "Settings..." 클릭

 


 

2️⃣ 개발자 모드 활성화

설정 창에서 "Advanced(고급)" 탭으로 이동

하단의 "Show Develop menu in menu bar (메뉴 막대에서 개발 메뉴 보기)" 체크박스 활성화

이 설정을 켜면 Safari 상단 메뉴에 "Develop" 메뉴가 추가됩니다.

 


3️⃣ 웹 페이지에서 개발자 도구 실행

Safari에서 원하는 웹사이트(예: 구글 홈페이지)를 엽니다.

웹페이지에서 마우스 우클릭  “요소 검사” (Inspect Element) 클릭 또는 상단 Develop 메뉴  “Show Web Inspector” 클릭

단축키: ⌥ Option + ⌘ Command + I

 


4️⃣ 개발자 도구 활용

Elements 탭에서 HTML/CSS 구조를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수정 가능

Console, Network, Sources 등 다양한 디버깅 도구 활용 가능

Box Model, Layout, Styles 등 UI 분석도 가능

 


✅ TIP

Safari에서도 크롬처럼 실시간 코드 수정, 모바일 뷰 디버깅, 네트워크 분석 등 개발자 도구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Responsive Design Mode를 통해 다양한 화면 크기 테스트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맥북에서 Magic Mouse나 일반 블루투스 마우스를 사용할 때,
윈도우처럼 마우스 오른쪽 버튼(우클릭)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설정 방법

 

 

 

1️⃣ 시스템 설정 열기

애플 메뉴() → 시스템 설정 → 마우스 선택

 


2️⃣ 기본 마우스 설정 화면

Point & Click 탭에서 우클릭(Secondary Click)이 기본적으로 꺼져 있음 (Off)

이 상태에서는 마우스 우측을 눌러도 ‘우클릭’이 되지 않음


3️⃣ 우클릭 활성화

Secondary Click 항목을 눌러 “Click Right Side” 선택

이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면 우클릭 기능 활성화

 


✅ 추가 팁

Magic Mouse의 경우, 손가락 하나로 마우스 오른쪽 상단을 누르면 바로 우클릭으로 인식됩니다.

사용 중 불편하면 “왼쪽 클릭” 설정으로도 변경 가능 (왼손잡이용 설정)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Finder(파인더)는 맥북에서 파일과 폴더를 탐색하는 기본 앱입니다. Finder 환경을 내 입맛에 맞게 설정하면 작업 효율이 높아집니다. 아래에서 Finder 설정법을 탭별로 정리했습니다!

 


1️⃣ General (일반)

데스크탑에 표시할 항목 선택

- 하드 디스크

- [✔] 외장 디스크

- [✔] CD, DVD, iPod

- [✔] 연결된 서버

 

새 파인더 창 열기 시 표시할 위치 선택

- 기본값: Recents (최근 사용한 항목)

- 드롭다운에서 다른 폴더로 변경 가능

 

탭으로 폴더 열기

- [✔] 새 창 대신 탭으로 폴더 열기

 


2️⃣ Sidebar (사이드바)

사이드바에서 표시할 항목 선택 가능

Favorites (즐겨찾기)

- [✔] Applications

- [✔] Desktop

- [✔] seuheu (사용자 폴더)

 

iCloud

- [✔] iCloud Drive

 

Locations (위치)

- [✔] 외장 디스크, CD/DVD, 연결된 서버 등

 

필요 없는 항목은 체크 해제하여 사이드바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3️⃣ Advanced (고급)

파일 확장자 표시

- [✔] 모든 파일 확장자 보기

 

확인창 표시 설정

- [✔] 확장자 변경 시 경고

- [✔] iCloud Drive에서 삭제 시 경고

- [✔] 휴지통 비우기 전 경고

 

휴지통 자동 비우기

- 30일 후 휴지통에서 자동 제거 (해제됨)

 

폴더 상단 고정

- [✔] 이름순 정렬 시 폴더를 목록 상단에 고정 (Finder 내에서)

 

기본 검색 위치

- ‘이 Mac 검색’으로 설정됨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

 


✨ TIP

이렇게 설정하면 Finder를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사이드바를 더 미니멀하게 만들거나 확장자 확인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추천드려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맥북을 사용하면서 마우스를 화면 모서리로 이동하면 특정 동작이 실행되는 핫 코너(Hot Corners) 기능이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핫 코너 설정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핫 코너 설정 방법

 

 

 

1️⃣ 시스템 설정 → 데스크탑 및 Dock 이동

Apple 메뉴() → 시스템 설정 실행

왼쪽에서 "데스크탑 및 Dock" 을 선택

우측 하단에 있는 "핫 코너..." 버튼 클릭

 

 

2️⃣ 원하는 모서리에 동작 지정

 


✅ 사용 팁

핫 코너를 설정하면 마우스를 화면 모서리로 이동했을 때 원하는 기능이 즉시 실행됨!

불필요하게 실행되는 걸 방지하고 싶다면, 핫 코너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로 둘 수도 있음.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맥북을 사용하면서 우측 상단 메뉴 바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아이콘을 메뉴 바에 추가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메뉴 바 아이콘 추가하는 방법

 

 

 

1️⃣ 시스템 설정 실행 & 제어 센터 이동

Apple 메뉴() → 시스템 설정 실행

왼쪽 메뉴에서 "제어 센터(Control Center)"를 선택

 

 

2️⃣ 메뉴 바에 추가할 항목 선택

메뉴 바에 표시하고 싶은 기능을 선택

"메뉴 막대에서 항상 보기(Always show in menu Bar)" 옵션을 활성화

 

 추가 가능한 항목 예시

Wi-Fi

블루투스

사운드

화면 미러링

방해 금지 모드 등

 

설정 후 사운드 아이콘이 메뉴 바에 추가된 것을 확인 가능

 


 

📝 마무리

 

 

 

✔️ 메뉴 바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바로 확인 가능!
✔️ Wi-Fi, 블루투스, 배터리, 사운드 등 원하는 기능을 직접 추가 가능!
✔️ 맥북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 설정 가능!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맥북을 사용하면서 Dock(독) 은 자주 사용하는 앱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Dock의 표시 방식이나 최근 앱 표시 여부 등 사용자에 맞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맥북 Dock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Dock 설정 변경 방법

 

 

 

1️⃣ 시스템 설정 실행 & Dock 설정 이동

Apple 메뉴() → 시스템 설정 실행

왼쪽 메뉴에서 "데스크탑 및 Dock"을 선택

 

 

2️⃣ Dock 자동 숨김 설정

"자동으로 Dock 가리기와 보기(Automatically hide and show the Dock)" 옵션 활성화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Dock이 자동으로 숨겨지고, 마우스를 아래로 내리면 다시 나타남

 

 화면 공간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깔끔한 화면을 유지 가능!

 

 

3️⃣ 최근 앱 표시 설정 변경

"Dock에서 제안된 앱 및 최근 앱 보기(Show suggested and recent apps in Dock)" 옵션 비활성화


 최근 사용한 앱을 Dock에서 숨길 수 있어 깔끔한 Dock 유지 가능!

 


 

📝 마무리

 

 

 

✔️ Dock을 자동으로 숨기면 화면이 넓어지고 깔끔한 사용 가능!
✔️ 최근 앱 표시를 비활성화하면 Dock이 더 정리된 느낌으로 사용 가능!
✔️ 사용자에 맞게 Dock 설정을 변경하여 더 편리한 맥북 환경 만들기!

 


 

반응형

+ Recent posts